전체 글7 너로 인해서 너와 헤어지고 가장 먼저 한 일은 휴대폰 앨범의 너와 관련된 사진을 -그와 관련된, 모든 SNS상의 태그 및 게시물 또한 삭제하는것을 포함하여- 모두 정리하는 거였다. 마치 몇 년간 찍은 동영상을 역재생 하듯이 사진을 지우기 시작했다. 사진을 지우는 행위를 반복하는 동안 너에 대해서 감정적으로 힘든 부분은 없었다. 너에게 헤어지자는 통보를 받은 후, 왜 진작 헤어지지 않았는가에 대한 의문만이 내게 남아있었으니까.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내 마음이 소란스러워지기 시작했다.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수록, 너와 관련된 사진속의 내 모습이 아름다웠기 때문에. 사진을 지워갈수록 나는 마치 꽃이 시들어가는 과정을 역재생 하는 다큐멘터리를 관람하고 있는 것 같았다. 이 때의 나는 이렇게 행복한 미소를 머금고 있었구.. 2022. 12. 8. 시작 너와 나의 만남은 가을이 지나고 겨울이 오고 있는 날 눈이 올 것 같지는 않지만 바람이 꽤 차서 손이 꽁꽁 얼 것 같은 그런 날이었어. 네가 나에게 말했었지 - 흑백영화같던 세상에 나만이 색채가 짙었다고. 이제서야 드는 생각이긴 하지만 네가 살고 있던 그 흑백영화같은 세상은, 정말 네가 말 했던대로 아무 재미가 없는 지루한 그런 삶이었을까. 네가 나에게 수 없이 내게 말해준 것 처럼 내가 진정 너의 삶의 유일한 이유였다면 어째서 나를 떠나 흑백영화같은 세상으로 돌아간걸까. 그 흑백영화는 사실 소리조차 존재하지 않는 무성영화이기 때문일까? 그 속에서 귀를 닫고 혼자만의 세상에서 평화를 찾기 위함인가? 나는 내 색이 가장 짙었던 한 때, 흑백영화같던 너를 만났고 네가 나를 떠난 후 나만의 색채를 잃고 방황하.. 2022. 10. 27. 사회문제의 이론적 접근방법 - 구조기능주의 구조기능주의는 현대 사회학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구방법론으로 사회시스템의 하나로서 조직을 연구대상으로 할 때에 구조기능주의를 주로 채택하고있다. 다시말해서 구조기능주의는 사회가 사회체계로서 개념화되고 사회구조의 독특한특징이 이러한체계들의 유지에 공헌한다는 관점에서 설명되는 이론적접근방식이다. 구조기능주의 이론은 사회학 이론 중에서 거시적 이론으로 볼 수 있는데, 1940년대,1950년대,1960년대에 구조기능주의로 알려진 기능주의적 이론이 사회학의 중심 패러다임이 되었다. 이 시기의 학자 파슨스에 따르면 구조기능주의는 '사회적 질서의 문제'로부터 시작된다고 한다. 이 문제는 사회속의 모든 개인이 이기적이고 때로 타인의 희생을 대가로 하면서까지 자신의 필요와 욕구를 추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사회가 결.. 2022. 5. 24. 현대사회와 사회문제 역사적 배경의 측면에서 보면 사회문제는 사회가 지속되는 한 어느 사회에서나 존재해왔다고 볼 수 있다. 인간은 이 지구상에 존재한 이후 자연적사회적 조건 속에서 상호관계를 맺으며 살아왔고 부와 권력의 소유와 통제를 둘러싸고 지배와 착취, 차별과불평등의 관계를 맺기도 하였다. 따라서 역사적으로 각 지역, 국가, 집단 사이에서 사회문제가 발생했고 사회적 갈등과 투쟁으로 이어졌다. 현대사회의 여명기라고 볼 수 있는 종교개혁은 종교를 매개로 한 가톨릭 성직자들의 부패와 평신도들에 대한 지배를 문제로하여 로마교회에 저항한 운동이다.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영국과 프랑스 드에서 일어난 수많은 혁명들은 왕과 귀족층의 지배 및 착취에 대한 시민들의 문제제기였으며 이는 과격한 저항으로 이어졌다. 이런 운동들은 시민들.. 2022. 5. 23. 이전 1 2 다음